미인이 되기 위해 감수했던 과거의 위험한 풍습
미인이 되기 위해 행했던 기막힌 풍습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더 예뻐지고 잘 생겨지기 위해 갖은 노력들을 합니다.
때로는 성형을 하기도 하고, 하이힐이나 보정속옷 같이 몸을 불편하게 하는 제품들을 사용하는데요.
옛날에는 그 당시 미의 기준을 맞추기 위해 오늘날보다 더욱 심한 것도 많이 했습니다.
오늘은 아름다움을 갖기 위해 감수했던 과거의 위험한 풍습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전족
전족은 중국에서 무려 천년 넘게 내려왔던 풍습으로 20세기 와서야 사라졌습니다.
전족은 발의 크기가 9~10cm를 넘지 않게 어릴 때부터 발 뼈를 부러뜨려 성장을 멈추게 하는 건데요.
이 과정에서 패혈증으로 사망한 사람도 많고, 제대로 걸을 수도 없었다고 합니다.
그 당시에는 발이 작을수록 미인이라 여겨서, 남자들이 아내의 신발을 주머니에 넣어 다니며 자랑하거나, 전족 미인 선발대회를 열기도 했습니다.
2. 크리놀린
19세기 유럽에서 유행한 크레놀린은 풍성한 드레스핏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철사나 고래뼈 등으로 둥글고 딱딱하게 만들어져서, 이것을 입고는 제대로 앉을 수도 없었습니다.
또한 중심 잡기도 힘들어 강이나 절벽, 건물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많이 생겼다고 합니다.
3. 납 화장
유럽에서 화장품이 덜 발달되었을 때, 흰 얼굴을 위해 수은을 얼굴에 발랐습니다.
이 때문에 납 중독으로 사망하는 여성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과거 일본의 기생인 게이샤들의 화장에도 이와 비슷한 납 화장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들은 흰 얼굴에 붉은 입술을 만들기 위해 '연백'을 발랐는데, 이것 또한 납 중독을 유발했다고 합니다.
4. 코르셋
16세기 프랑스에서 유행한 코르셋은 배와 허리를 극단적으로 졸라매 잘록한 허리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원래 남성들이 역삼각형 몸매를 만들기 위해 사용했지만, 나중에 가서는 여성들의 몸매 보정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코르셋의 심한 압박은 호흡곤란이나 가슴통증을 야기했고, 장기의 위치를 영구적으로 변형시키거나 뼈를 부러뜨리기도 했습니다.
또한 부러진 뼈가 장기를 찔러 사망하는 사례도 많았습니다.
5. 초핀
초핀은 17세기 베네치아에서 유행했던 신발로, 하이힐처럼 키를 커 보이게 해 비율을 좋아 보이게 해 줬습니다.
굽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위도 높았고, 심지어 70cm를 넘는 초핀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극단적으로 굽이 높았던 초핀으로 인해 척추와 발목에 부상을 입기도 했습니다.
6. 가발
프랑스에서 과거에 유행했던 가발은 지금과는 다르게 엄청나게 거대했는데요.
무려 150cm 이상이었기 때문에 무게가 어마어마했다고 합니다.
이런 가발의 무거운 무게 때문에 목이 부러지는 사고가 빈번했습니다.
7. 오하 구로
오하 구로는 일본에서 8~12세기에 유행했던 풍습으로, 철을 초산에 녹여 치아에 발라 흑치를 만들었습니다.
당시 일본에서는 이런 흑치가 미의 기준이었다고 합니다.
의외로 충치예방의 효과가 있었지만 철 중독 등의 무시무시한 부작용도 있었습니다.
8. 벨라도나
과거 이탈리아 여성들이 많이 사용한 벨라도나 추출액은 서클렌즈처럼 동공을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성분이 있어 집중력을 떨어트리고 많은 어지러움을 유발했다고 합니다.
지금 와서 보면 옛날의 미의 기준은 정말 이상해 보입니다. 어쩌면 오늘날 우리가 미인이 되기 위해 행했던 것들도 나중에 후손들이 생각했을 때는 이상한 행위로 비칠지도 모르겠습니다.
재밌게 읽으셨다면 구독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