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는 이슈&정보

해외 생태계를 망치고 있는 한국 토종 동물 TOP

공감이슈 2021. 8. 30. 00:38
반응형

해외에서 유해생물로 낙인찍힌 한국 토종 동물 TOP

 

안녕하세요. 공감이슈입니다.

 

해외에서 온 외래종이 우리나라 생태계를 파괴하는 사례는 예전부터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몇몇 토종 생물 역시 해외에선 골칫덩이 취급을 받고 있다는 것, 아시나요?

오늘은 외국 생태계에서 짱을 차지한 한국 생물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족제비

 

우리나라의 족제비가 일본에 가서 각시탈 노릇, 일명 족 시탈 노릇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족제비는 일본인들이 과거 모피를 생산하기 위해 데려가서 사육하다가 그중 일부가 탈출하면서 일본 전역에 서식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귀여운 외모와는 다르게 성격이 포악하고 적응력이 뛰어난데요.

 

마을 주변에서 서식하면서 일본 족제비를 비롯해 포유류, 갑각류, 물고기, 조류, 양서류 등등 일본 토종 생태계를 다양하게도 아작 냈다고 합니다.

 

2. 가물치

 

한국의 가물치는 큰 덩치에 힘도 세고 매우 재빠릅니다.

또한 뭐든지 싹둑 자르는 강력한 턱과 날카로운 이빨, 난폭한 성질머리까지 골고루 갖췄는데요.

 

이런 막강한 가물치가 일본과 미국에서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제 수탈기 때 일본 어부들은 광어회처럼 맛있는 한국 가물치를 수입해 양식했는데요.

 

그때를 계기로 한국 가물치가 일본에서 번식해 일본 토종 물고기를 눌렀다고 합니다.

 

미국에서는 한인 식당에서 한국 가물치가 요리에 쓰이기도 하고, 미국 사람들이 생물로 사가기도 했는데요.

 

이때 일부가 수족관에서 키워지다가 방류되었고, 블루길과 베스 등 미국 토착 어류를 거의 전멸시켰다고 합니다.

 

특히 가물치는 물이 말라도 육상 호흡이 어느 정도 가능한 데다가 천적이라고는 수달 정도밖에 없어서 퇴치하기가 쉽지 않다고 합니다.

 

사태가 너무 심각해서 미국에선 한 마리당 무려 20달러로 현상금도 내걸었습니다.

또한 가물치가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다고 홍보해 사람들이 가물치를 많이 잡아먹도록 유도했습니다. 

 

한국 네티즌들은 보양식으로 인기 있고 비싼 가물치가 미국에서 천대받는 것에 매우 아쉬워했습니다.

 

3. 다람쥐

 

귀여운 외모를 가진 한국 다람쥐는 1960년대 마리당 1달러에 일본으로 수출되기 시작해 1970년에는 30만 마리까지 수출할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끌었습니다.

 

다람쥐가 돈이 된다고 하자, 사람들은 다람쥐 굴 속에 저장된 곡식도 뺏고, 그곳에 있던 다람쥐 새끼 수백 마리도 팔았습니다.

 

일본에 수출되어 교육을 받은 다람쥐들이 

또 세계 각지로 비싸게 팔려가 해외 가정집에서 열심히 재롱을 떨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일부 사람들이 다람쥐를 방생하기 시작했는데요.

 

생긴 건 이렇게 귀엽지만 덩치 크고 험상궂게 생긴 해외 다람쥐들을 모두 밀어냈다고 합니다.

 

또한 이렇게 야생에 방생된 다람쥐가 라임병을 옮기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라임병은 초기에 감기몸살로 착각할 수 있지만,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수개월 후에 

관절염이나 심장 염증, 신경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합니다.

 

4. 무당개구리

 

알록달록 예쁘게 생긴 한국의 무당개구리는 20세기 초에 유럽으로 많이 수출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무당개구리가 

무려 200종이 넘는 세계 각지의 개구리를 멸종시켰다고 합니다.

 

바로 치명적인 피부병을 일으키는 항아리곰팡이를 퍼트리고 다녔기 때문인데요.

이 항아리곰팡이는 양서류 피부에 기생해 

피부조직의 케라틴을 먹어 치우고,

이로 인해 피부호흡을 못 하게 된 양서류는 

질식해 죽는다고 합니다.

 

무려 치사율이 90%에 이르고 번식력도 강해 현존하는 양서류 중에도 3분의 1은 항아리곰팡이 때문에 멸종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나 하나쯤은 괜찮겠지 하고 해외에서 들여온 생물들을 함부로 방생했다가는 생태계가 이렇게 초토화될 수도 있다는 걸 명심해야겠습니다.

 

오늘 이야기는 여기까지 입니다.

재밌게 보셨다면, 구독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